
사용설명서
‘4대보험 계산기’는 월급에서 공제되는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 등을 자동으로 계산해 실수령액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계산기입니다. 사용자가 급여만 입력하면 복잡한 공제율을 직접 계산할 필요 없이, 각 항목별 보험료와 총 공제액, 그리고 실제로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까지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 계산기는 근로자 본인이 부담하는 비율만 반영해 현실적인 실수령액을 제공합니다. 또한 사업주 입장에서 인건비 산출 시 참고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 급여 수준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지는 구조를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, 매달 얼마가 빠져나가는지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사회초년생이나 프리랜서처럼 처음 급여를 받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합니다.
아래는 2025년 기준으로 근로자 부담 요율을 간단히 정리한 표입니다.
- 국민연금: 급여의 4.5%
- 건강보험: 급여의 3.545%
-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료의 12.95%
- 고용보험: 급여의 0.9%
- 산재보험: 사업주 100% 부담 (근로자 부담 없음)
👉예를 들어 월급이 300만 원이라면, 위 요율을 기준으로 약 25만원 내외가 공제되고 실수령액은 약 275만원 정도로 계산됩니다. 이렇게 ‘4대보험 계산기’를 이용하면 공제 내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, 매달 급여 명세서를 작성하는데 있어 큰 도움이 됩니다.
해당 게시글의 평점을 남겨주세요!
[투표자수: 1 평점: 5]